본문 바로가기

MVP(Minimum Viable Product)는 ‘개발 방법론’이 아니다

_Big 2025. 7. 4.
반응형

1. MVP란 무엇인가?

MVP는 “고객 행동·반응을 검증하기 위해 최소한의 기능만 담아 가장 빨리 출시한 제품”이다. 에릭 리스(Eric Ries)는 이를 “고객에 대한 최대한의 학습을 최소 노력으로 얻을 수 있는 제품”이라고 정의했다.


2. MVP의 태생: Lean Startup 사고방식

Lean Startup 모델은 Build → Measure → Learn 루프를 반복하며 낭비를 줄이고 시장 적합도를 찾는다. MVP는 이 루프의 “Build 1회차 산출물”이다. MVP를 통해 얻은 정량·정성 데이터가 다음 반복의 방향키가 된다.


3. 왜 ‘개발 방법론’이 아닌가?

구분 핵심 초점 출력물 대표 예시
Agile / Scrum 개발 프로세스 및 팀 협업 방식 스프린트마다 완성된 기능 스프린트 백로그, 데일리 스탠드업
Waterfall 선형(Linear) 단계 진행 단계별 산출물 요구사항 명세서 → 설계서 → 구현
MVP 제품 전략·시장 검증 최소 기능 제품 프로토타입·랜딩페이지·데모 영상

MVP는 어떻게 개발할지(프로세스) 보다는 무엇을 먼저 만들지(우선순위) 를 다룬다. 그래서 “개발 방법론”이 아니라 “제품 전략(approach)” 혹은 “검증 프레임”으로 분류한다.


4. MVP 설계 5-단계 체크리스트

  1. 핵심 문제 정의
    • 사용자가 겪는 한 가지 가장 큰 불편·욕구를 명확히 적어본다.
  2. 가설 세우기
    • “이 기능만 있으면 사용자는 A 행동을 할 것이다” 식의 행동 가설을 명문화.
  3. 최소 기능 도출
    • 가설 검증에 꼭 필요한 기능만 남기고 모두 제외.
    • Feature cut 우선순위 기준: (1) 가설과 직접 연관성, (2) 구현 난이도, (3) 측정 가능성
  4. 측정 지표 설정
    • 클릭률, 가입수, 전환율, LTV 등 정량 지표를 목표치와 함께 명시.
  5. 피드백 루프 설계
    • 데이터 수집(analytics), 사용자 인터뷰, 설문 등 학습 경로를 미리 마련.

5. MVP 검증 기법 두 가지 시나리오

시나리오 구현 예 유용 시점
① 프로토타입·데모 영상 Dropbox는 3 분짜리 시연 영상만으로 7만 명의 대기 리스트 확보. 복잡한 기술·UX를 설명해야 할 때
② Fake Door Test 기능이 없는 CTA 버튼을 누르면 “곧 출시됩니다” 창을 띄워 클릭률로 니즈 측정. 개발 비용을 더 줄이고 싶을 때

6. 실전 사례로 보는 MVP → 제품 확장

  • Dropbox: 클라우드 동기화 코어 UX를 동영상으로만 보여주고, 기다리던 사용자 데이터를 통해 제품 완성.
  • Airbnb: 에어매트리스 3개 + 간이 사이트로 호스트·게스트 양면 수요를 검증. 이후 결제·리뷰·추천 알고리즘을 단계별 추가.

둘 다 공통적으로 MVP → 고객 피드백 → 기능 확장을 점진적으로 밟아나갔다.


7. 핵심 인사이트 정리

  • MVP는 “최소 기능 제품”이라는 제품 전략이며,
    Lean StartupBuild–Measure–Learn 루프에서 최초 실험물이다.
  • Agile·Scrum과는 보완 관계: MVP를 스프린트로 구체화해 반복 개선.
  • 성공 관건은 “무엇을 빼고도 가치를 증명할 수 있나”를 집요하게 고민하는 것.

반응형

댓글